화학1 문제 풀이 해설 40

2023년 10월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(20번 문항)

[관련 문제 이론] 1. 반응 전후 전체 분자 수의 변화 ① aA + bB → cC + dD 반응에서 반응 전후의 전체 분자 수 변화는 반응물의 계수 합( a+b ), 생성물의 계수 합( c+d )을 비교한다. 계수 합 a + b ( = ) c + d a + b ( > ) c + d a + b ( < ) c + d 반응 전후의 전체 분자 수 ( 일정 ) ( 감소 ) ( 증가 ) 반응 전 후 전체 부피 ( 일정 ) ( 감소 ) ( 증가 ) 계수 합과 부피 합이 같은 경향인 이유 : ( 계수 비 ) = ( 부피 비 )이니깐!! 반응 전 후 전체 질량 ( 일정 ) ( 일정 ) ( 일정 ) 질량이 일정한 이유 : ( 질량 보존 법칙 )이 성립하니까!! 반응 전 후 ( 원자 수 )는 유지되니까!! 2. 밀도=부피..

2023년 10월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(19번 문항)

[관련 문제 풀이] 1. 중화 반응에서 이온수와 생성되는 물 분자수 결정 방법 ★양이온이고 음이온이고 많은 분자 수에 의해 결정된다. 그리고 생성되는 물 분자수는 한계 반응물로 결정한다. ① 1가 산 + 1가 염기 혼합 용액 양이온 수 음이온 수 전체 이온 수 물 분자 수 2HCl + NaOH ( 2 ) ( 2 ) ( 4 ) ( 1 ) 2HCl + 2NaOH ( 2 ) ( 2 ) ( 4 ) ( 2 ) 2HCl + 3NaOH ( 3 ) ( 3 ) ( 6 ) ( 2 ) 2HCl + NaOH + 2KOH ( 3 ) ( 3 ) ( 6 ) ( 2 ) ② 2가 산 + 1가 염기 또는 1가 산 + 2가 염기(2가 물질을 2배 생각하여 계산 후 계수 만큼 빼주기) 혼합 용액 양이온 수 음이온 수 전체 이온 수 물 분자..

2023년 10월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(18번 문항)

[관련 이론] 1. 원자 반지름 vs 이온 반지름 ① 원자 반지름의 주기적 변화 ※ 같은 족 :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( 전자껍질 수 )가 증가하므로 원자 반지름은 ( 커진다 ). ※ 같은 주기 :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( 유효 핵전하 )가 증가하여 원자핵과 ( 전자 )사이의 인력 이 증가하여 원자 반지름은 ( 작아진다 ). ② 이온 반지름의 주기적 변화 1) 양이온 반지름 금속 원자가 ( 원자가 전자 )를 잃고 양이온이 되면 ( 전자껍질 수 )가 감소하므로 반지름이 작아진다. 2) 음이온 반지름 비금속 원자가 ( 원자가 전자 )를 얻어 음이온이 되면 ( 전자 사이의 반발력 )이 증가하므로 반지름이 커진다. (유효핵전하로도 설명 가능) 3) 이온 반지름의 주기성 ‧같은 주기 : 원자 번호가 클수록 양..

2023년 10월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(17번 문항)

[관련 문제 이론] 1. 동위 원소 (1) 동위 원소 ① 양성자수가 같아 ( 원자 번호 )는 같으나, 중성자수가 달라 ( 질량수 )가 다른 원소이다. ② 동위 원소는 원소의 종류가 같으므로 ( 화학적 ) 성질은 같다. 그러나 중성자수가 다르므로 질량, 부피 등의 ( 물리적 ) 성질은 다르다. (2) 평균 원자량 ① 자연계에 존재하는 ( 동위 원소 )의 존재 비율을 고려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낸 원자량이다. ② 평균 원자량을 구하는 방법 : (동위 원소의 원자량×동위 원소의 자연 존재 비율)의 합으로 계산한다. 원소 원자 번호 동위 원소 원자량 존재 비율(%) 평균 원자량 수소 ( 1 ) 1H 1.008 99.9885 ( 1.008 ) 2H 2.014 0.0115 계산 과정 질소 ( 7 ) 14N 14.003..

2023년 10월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(16번 문항)

[관련 이론] 1. 전자 배치의 원리 ① 쌓음 원리 : 전자는 에너지 준위가 ( 낮은 ) 오비탈부터 차례로 채워진다. ⇒ 1s < 2s < 2p < 3s < 3p < 4s < 3d < 4p < 5s < 4d... ② 파울리 배타 원리 : 1개의 오비탈에는 전자가 최대 ( 2 )개까지 들어갈 수 있으며, 이때 두 전자의 스핀 방향은 ( 반대 ) 이어야 한다. ★파울리 배타 원리에 따르면 같은 원자에는 네 가지 양자수( 주 양자수, 부 양자수, 자기 양자수, 스핀 양자수 )가 모두 같은 전자는 존재 할 수 ( 없다 ). 즉, 파울리 배타 원리에 어긋나는 전자 배치는 ( 불가능 )한 전자 배치이다. ③ 훈트 규칙 : 에너지 준위가 같은 여러 개의 오비탈(예 : 2px = 2py = 2pz)에 전자가 채워질 때..

2023년 10월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(15번 문항)

[관련 이론] 1. 결합의 극성 ① 전기 음성도 : 공유 결합을 하는 원자가 공유 전자쌍을 끌어당기는 힘의 세기를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낸 값 ② 전기 음성도와 결합의 극성 1) 무극성 공유 결합 : 전기 음성도가 ( 같은 ) 두 원자 사이의 공유 결합으로, 결합하는 원자들이 부분적인 전하를 띠지 ( 않는다 ). 예) H-H, O=O, N≡N 2) 극성 공유 결합 : 전기 음성도가 ( 다른 ) 두 원자 사이의 공유 결합으로, 전기 음성도가 큰 원소가 공유 전자쌍을 강하게 당겨서 ( 부분적인 음전하(δ-) )를 띠고, 전기 음성도가 작은 원소는 ( 부분적인 양전하(δ+) )를 띤다. 예) ★ 요령!! ⇒ ( 같은 ) 원자끼리 결합하면 ( 무극성 ) 공유 결합, ( 다른 ) 원자끼리 결합하면 ( 극성 ) 공유..

2023년 10월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(14번 문항)

[관련 이론] 1. 화학 반응식의 의미 ① 화학 반응식의 의미 : 화학 반응식을 통해 반응물과 생성물의 종류와 화학식, ( 분자 수 ), ( 부피 ), ( 질량 ) 등의 여러 가지 양적 관계를 알 수 있다. ( 계수비 ) = ( 몰수 비 ) = ( 분자수 비 ) = ( 부피비(기체인 경우) ) ≠ ( 질량 비 ) 2. 화학 반응식과 질량 보존 법칙 ( 질량 보존 법칙 ) : 화학 반응이 일어나더라도 ( 원자 )가 없어지거나 새로 생성되지 않으므로 반응 전 후 ( 원자 )의 종류와 개수는 변하지 않는다. 따라서 반응물의 ( 질량 )을 모두 더한 값은 생성물의 ( 질량 )을 모두 더한 값과 같다.

2023년 10월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(13번 문항)

[관련 이론] 1.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 ① ( 수소 ) 원자의 에너지 준위 : 전자가 ( 1 )개인 수소 원자에서는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가 ( 주양자수 )에 의해서만 결정된다. ( 주 양자수 )가 커질수록 원자핵에서 전자가 멀어지므로 원자핵과의 ( 인력 )이 약해져 에너지 준위(전자껍질)이 커진다. ( 1s ) < ( 2s=2p ) < ( 3s=3p=3d ) < ( 4s=4p=4d=4f ) 3d이다.

2023년 10월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(12번 문항)

[관련 이론] ① ( 중화 적정 ): 중화 반응을 이용하여 농도를 모르는 산이나 염기 수용액의 농도를 알아내는 실험이다. ② ( 중화점 ): 중화 적정에서 산이 내놓는 H+의 양(몰)과 염기가 내놓는 OH-의 양(몰)이 같아지는 지점 (1) 중화점을 확인하는 방법 가. ( 지시약 )의 색 변화: 지시약을 넣은 후 산이나 염기 수용액을 중화시키면 중화점 전후에서 액성이 변하므로 용액의 색이 변하게 된다. 나. 혼합 용액의 ( 온도 ) 변화: 중화점에서 중화열이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혼합 용액의 온도가 가장 ( 높 )은 지점이 중화점이다. 2. 식초 속 아세트산 함량 구하기 실험 수행 ① 중화 반응에서 일어나는 변화 (1) 일정량의 묽은 염산(HCl)에 같은 농도의 수산화 나트륨(NaOH) 수용액을 가한 경..

2023년 10월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(11번 문항)

[관련 이론] 1. 결합의 극성 ① 전기 음성도 : 공유 결합을 하는 원자가 공유 전자쌍을 끌어당기는 힘의 세기를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낸 값 ② 전기 음성도와 결합의 극성 1) 무극성 공유 결합 : 전기 음성도가 ( 같은 ) 두 원자 사이의 공유 결합으로, 결합하는 원자들이 부분적인 전하를 띠지 ( 않는다 ). 예) H-H, O=O, N≡N 2) 극성 공유 결합 : 전기 음성도가 ( 다른 ) 두 원자 사이의 공유 결합으로, 전기 음성도가 큰 원소가 공유 전자쌍을 강하게 당겨서 ( 부분적인 음전하(δ-) )를 띠고, 전기 음성도가 작은 원소는 ( 부분적인 양전하(δ+) )를 띤다. ★ 요령!! ⇒ ( 같은 ) 원자끼리 결합하면 ( 무극성 ) 공유 결합, ( 다른 ) 원자끼리 결합하면 ( 극성 ) 공유 결합